#리포트_소개혹시 #30명언더 조직의 #패션스타트업을 운영하고 계신가요?나랑 비슷한 규모의 기업들은 마케팅비를 한달에 얼마나 지출할까요?총 몇명을 고용하고 있으며, 물류팀과 상품팀은 몇명씩 배치할까요?이제 시작하는 이들, 시작했지만 정체된 이들, 성장 중이지만 맞게 성장하고 있는 궁금한 이들이여~~ 클릭하소서~!
흥미로운 리포트가 하나 있어 소개해요. 특히 조직규모 30명 언더의 패션 스타트업이라면 큰 도움이 될 리포트예요.
이 리포트의 제목은 ‘2022 패션 이커머스 벤치마크 리포트’예요. 패션 브랜드 경영진 및 리더급들에게 설문조사를 해 그 내용을 취합한 건데요. 이 중 저를 확 끌리게 했던 건 바로 요 목차였죠.
‘패션 브랜드 기업들의 수익 및 비용 관리’, 움..? 아니 이것은 절대로 궁금한 것…! ㅋㅋㅋㅋ

이 리포트는 ‘채널톡’이 만들었어요. 아마 어쩌면 여러분 사이트에도 달려 있을지 모를 상담챗봇툴 SaaS 스타트업이에요.
리포트 내용은 전반적으로 정말 흥미로왔어요.
주로 매출구간별로 패션 브랜드들이 어떻게 비즈니스를 펼치고 있는지에 포커스를 둬요. 1-10억 / 10-50억 / 50-100억/ 100억 이상으로 나눠 현재 질문별 현황이 어떠한지 정리하는데요. 예를 들면 아래의 경우, 자사몰과 입점몰 비율이 어떠한지 묻고 있는 거예요. 응답결과는 매출이 100억구간에 달하면 100%의 기업이 입점몰을 활용하고 있고, 대부분 자사몰 외에 6개 이상의 입점몰에 입점해 있단 걸 말해주죠.

다만.. 이 리포트에는 한 가지 아쉬운 점이 있었으니.. 하핫 그거슨 퍼센티지(%)의 상세통계를 도출하기엔.. 모수가 작다는 거요. 패션 브랜드 48개사가 설문에 응답을 모은 것이거든요.. 하핫.
이 리포트는 리포트 제목대로 ‘벤치마크’, 그 중에서도 언더 30명 규모의 패션 브랜드들을 타겟으로 이 규모의 경쟁환경과 기준점을 들여다 보는데 포커스를 두고 있어요.
조사 대상도 모두 최대 인원규모 28명까지의 브랜드들이랍니다.
즉, 직원 100명 규모로 500억씩 매출을 땡기고 있거나, 직원 200명 규모로 1천억 하는 브랜드들에겐 이 리포트의 수치가 큰 의미가 없을 수 있어요. 이 모수를 통해 패션 인더스트리의 전체 방향을 파악하기는 어려우니까요.
하지만 사실 언더 30명 사이즈에 있는 기업들에게 나와 비슷한 사이즈 48개사의 이야기를 듣는다는 의미는 특별하지요?
리포트가 좋은 질문을 잘 던진 지점이 몇 개 있어요.
예를 들면 ‘부서별로 몇명을 고용하고 있을까?’와 같은 부분이에요. 언더 30명 패션조직 48개사 규모를 한 번에 파악하는 건 동급의 기업에겐 큰 도움이 되는 정보예요. ‘정성분석’적 관점에서 참고하셨으면요.

제 주변에도 여러 패션스타트업 친구들이 있어요. 빠르게 성장하는 만큼 경쟁환경에도 민감하고, 리소스는 부족한데 할 일은 많아서 늘 가랭이가 찢어지고 있죠. ㅋㅋㅋㅋ
언더30명 규모로 패션기업을 운영 중이라면 지금 여러 비슷한 고민이 있을 거예요.
- 이제 막 시작하는데, 고용이며 소싱이며 어떻게 시작해야 좋을까,
- 직원 10명 30억 매출에서 계속 정체 중인데 어떻게 스케일업 해야 할까,
- 우리 규모 정도 되는 브랜드들은 대체 한달에 마케팅비를 얼마나 쓰고 있을까
이 리포트가 영감을 줄 수 있는 부분은 이런 것들이에요.
- 인당매출을 끌어올리는 데에는 여성패션/종합패션 중에 뭐가 더 유리한지
- 매출이 높은 브랜드들은 주로 어떤 입점몰을 이용하는지
- 인플루언서 마케팅이나 대행사 활용은 보통 어떻게들 이용하고 있는지
흥미롭지요? 전문은 요기서 다운받으시오소서~
가장 정보가 부족한 영역에서 이런 보고서 발간을 시도했다는 건 정말이지 놀랍지 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