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료#국내뉴스브리핑 이에요~
-뚜둥~! #더현대 에 #라면백화점 이라고 들어보신 분, 손..?
-이커머스들의 #PB 가 #프리미엄화 되고 있답니다~~
–#패션 계에서 #새로운기회 를 찾는 주자들을 소개해유~
edited by sasshi (박주민)
금주에는 백화점 소식이 많네요. 요즘 한국 백화점가에는 웃음꽃이 만발입니다. 아울러 이커머스는 PB가 고급화되기 시작했고, 패션가에는 워크웨어라는 새로운 기회가 주목되고 있어요.
백화점가 소식 : 더현대 라면백화점을 아시나요?
- 첫 흑자전환 보인다…’빅4′ 안착한 현대백화점면세점 : 현대백화점면세점이 국내 면세점 ‘빅4’에 안착한 데 이어 올해 첫 흑자 전환을 노립니다. 면세점 사업에 뛰어든지 4년 만이에요. 현재의 성장세라면 올 1월 사상 첫 월 손익분기점(BEP)을 달성하고, 올해 말에는 분기별 영업이익 흑자전환이 가능할 전망이다.

- [마케팅 현장] 더현대에 등장한 라면백화점 : 현대백화점과 공유주방 스타트업 위쿡(WEECOOK)이 함께 만든 매장 ‘원바이위쿡’에 들어선 ‘88라면스테이지’가 주목받고 있어요. 취식은 불가능하고 상품 구매만 가능하지만 매장 바닥부터 천장까지 빼곡하게 쌓인 라면들은 시선을 사로잡고 있어요. 해외와 국내를 불문하고 200여 종의 라면을 구비하고 있습니다.
- “방역패스에도 웃었다” 백화점 업계, 평균 53% 매출 상승 : 19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백화점 3사의 신년 정기세일 매출은 전년도 세일기간 매출 대비 평균 53% 상승했어요. 이번 세일기간 동안 신세계 백화점 매출은 전년 대비 54.4%, 롯데백화점도 비슷한 상승세를 보여 전년 대비 53.6%, 현대백화점도 같은 기간 전년 대비 53% 증가했어요.
- 최고 상권으로 떠오른 백화점 식당가 : 백화점을 찾는 손님들이 많아지면서 식당 점주들과 같은 자영업자들에게도 백화점이 최고의 상권으로 떠올랐어요. 코로나로 수많은 점포들이 현재 영업을 쉬고 있거나 폐업을 결정한 상황이지만 백화점은 예외입니다. 그 덕에 불과 수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맛집을 들여오는 일이 쉽지 않았던 백화점들은 맛집 유치가 수월해지고 있습니다.
이커머스 소식 : 소셜 커머스와 프리미엄 PB
- 티몬, ‘커머스 크리에이터’ 앞세워 ‘이커머스 3.0’ 돌파 : 티몬이 국내 이커머스 업계 최초로 숏폼 영상 플랫폼 틱톡과 전략적 제휴(MOU)를 맺고 커머스 크리에이터 육성에 본격 착수했어요. 최근 티몬이 구독자 60만명에 이르는 유튜버 ‘정육왕’과 손잡고 선보인 영상이 커머스 크리에이터 육성 취지를 그대로 보여주고 있는데요. 첫날 준비한 수량은 모두 팔려 매출 1억원을 돌파했습니다.
- ‘가성비 넘어 품질’ 이커머스업계 PB 업그레이드 : 이커머스 업계에서는 가격과 품질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프리미엄 PB에 포커스를 두기 시작했어요. 컬리의 자체 브랜드인 ‘컬리스’는 2020년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착유일을 기록한 동물복지 우유를 선보인 이후 무항생제 돈육햄, 연육 함량을 높인 어묵 등을 출시했는데요. 이 우유는 기존 프리미엄 유기농 우유 가격의 65% 수준, 햄은 70% 수준입니다. 컬리에 따르면 컬리스 재구매율은 기존 대비 3배 높은 31%에 달한다고 해요. 기사에는 쿠팡과 위메프의 움직임도 함께 다뤄져 있습니다.
패션가 소식 : 인상적인 무브먼트들
- 하이라이트브랜즈에는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 : 최근 몇 년간 연달아 히트 브랜드를 양산해 나가고 있는 기업 ‘하이라이트브랜즈(대표 이준권)’를 다룬 기사예요. 이 기업의 코닥은 지난해 500억 원 가량의 매출을 기록했고, 지난해 말 론칭한 말본골프는 가히 폭발적입니다. 최근엔 이태리 스포츠 브랜드 ‘디아도라’를 런칭했어요.
- LF, RFID 시스템 구축 … O4O 쇼핑 시대 가속화 : LF(대표 오규식 김상균)가 상품 재고 관리 혁신의 일환으로 전 매장에 RFID(무선 주파수 인식,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시스템을 도입했어요. 이 시스템으로 재고관리 정확도를 99.9% 끌어올렸고 고객 또한 쇼핑 과정에서 재고 현황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어 LF몰에서 고른 상품을 매장에 방문해 입어볼 수 있도록 준비하는 등 맞춤형 서비스까지 가능해졌습니다.
- 티에이케이텍스타일, 코로나 끄떡없는 항바이러스 소재 ‘bybye’ 상용화 나서 : 도레이첨단소재(Toray Advanced Materials Korea Inc.) 자회사인 TAK텍스타일(대표 남병탁)이 강화된 항바이러스 기능을 갖춘 국산 소재를 개발했다고 해요. 1972년 제일합섬을 전신으로 둔 50년 업력의 이 기업은 2년여의 연구개발 끝에 ‘bybye’를 출시했어요. 현재 TAK 텍스타일의 클라이언트는 막스마라 그룹, 몽클레르, 스톤 아일랜드, 랄프로렌 등 해외 프리미엄 브랜드부터 유니클로, 자라 등 글로벌 SPA까지 다양합니다.
- 워크웨어, 기회의 땅인가 : 일본의 ‘워크맨’ ‘워크맨 플러스’의 성공과 독일 ‘엥겔버트 스트라우스’의 볼륨화 등 최근 워크웨어가 확산될 조짐을 보이면서 국내에서도 아웃도어 및 스포츠 기업들이 주축이 되어 워크웨어를 신수종 사업으로 선택하기 시작했어요. 코오롱, 블랙야크 이어 아이더, 영원 등이 출사표를 던지고 있습니다.

뷰티 소식 : 해외시장, 그리고 ‘바디케어’
- 톰포드 제치고···K뷰티, 파리 백화점 ‘매출 1위’ : 국내 뷰티 브랜드 ‘디어달리아’가 유럽 명품 백화점에서 매출 1위를 차지하는 성과를 냈다고 해요. 이 브랜드는 지난달 17일부터 이달 3일까지 갤러리 라파예트 파리 샹젤리점에서 진행된 홀리데이 행사에서 뷰티 카테고리 매출 1위를 기록하며 딥디크와 톰포드 등 유럽 명품 뷰티 브랜드를 제쳤습니다.
- 중국 솽스이에서 화장품 소비 ‘저성장 시대’ 돌입 : 중국의 대표 쇼핑축제인 솽스이(双十一)의 최근 3년간을 분석해보니 구매품목 3위였던 화장품은 4위로 하락하며 ‘저성장 시대’로 돌입, K-뷰티 기업들의 대비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한편, 플랫폼 거래액 점유율 변화를 보면 몰이 최근 3년간 65.5%→59%→58%로 하락한 데 비해 징둥은 17.2%→26%→27%로 증가했습니다.
- 코로나가 불러온 뷰티시장의 변화…바디케어 관심 증폭 : 유투브 콘텐츠를 분석하는 레페리 데이터 연구소의 리포트에 따르면, 지난해 코로나19가 지속되면서 뷰티 시장에는 기존의 틀을 깬 변화의 양상이 감지되고 있는데요. 스킨케어 부문에서는 페이스케어보다 바디케어의 성장이 두드러졌어요. 뷰티 유튜브 콘텐츠에서 스킨케어 카테고리 중 ‘페이셜케어’ 노출 수는 2020년 대비 2021년 27.6% 증가하는데 그쳤지만, ‘바디케어’는 114.3% 2배 이상의 증가율을 기록했다는 군요.
오늘 준비한 소식은 여기까지입니다. 저는 다음 주에 또 새로운 이야기로 찾아올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