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료#국내패션뷰티커머스 뉴스예요~
-지난주에는 여기저기 #트렌드보고서 들이 쏟아졌어요~
-패션시장의 다음 큰손은 #남성 이라네요~
-뷰티 시장의 새로운 스타들을 알아볼까요?
-위메프, 티몬, 배민, 쿠팡이 각자의 카드를 꺼내들었습니다~
edited by sasshi (박주민)
지난주에는 내년도 트렌드 전망 보고서들이 쏟아졌어요. 패션계의 넥스트 큰손과 뷰티계의 신흥 스타들에 대한 소식, 그리고 커머스 플랫폼들의 움직임 등에 대한 소식입니다.
2022 트렌드 전망 보고서들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 2022년 주목해야 할 트렌드 총정리: I-boss에서 각종 기관들이 쏟아내난 트렌드 보고서를 한 데 모았습니다. 인스타그램, 대학내일 연구소, 앱애니 등 총 26개의 보고서 링크가 이 기사 하나에 담겨 있습니다.
- 삼성패션연구소, 내년 패션시장 키워드 ‘아템포” : 삼성 경제연구소에서 내년도 패션시장 키워드로 ATEMPO를 발표했는데요. A: Across the Fashion은 소비자들의 관심사가 의복에서 식, 주 등 라이프스타일 영역으로 옮겨가고 있음을 말합니다. 그 결과 패션기업들의 F&B 비즈니스로의 진출이 활발해서, 카페 키츠네, 카페 A.P.C. 등 패션 브랜드의 카페 공간 뿐 아니라 미슐랭 스타를 받은 구찌의 레스토랑 ‘구찌 오스테리아’도 내년 2월 문을 엽니다. T: Taste-commerce는 취향 중심의 소비가 주를 이루면서 이제 백(百)가지 상품을 갖춘 백화점보다는 취향으로 큐레이팅된 십화점이 각광받는 다는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기사를 참조해주세요.

- 캐치패션, 2022년 명품 쇼핑 키워드 ‘C.A.T.C.H’ 발표 : 럭셔리 플랫폼 캐치패션이 2022년 명품 커머스 시장을 전망하는 키워드로 ‘C.A.T.C.H’를 선정했어요. ‘C.A.T.C.H’는 △Category △Alternative △Trust △Collaboration △Honest 등 영단어의 첫 글자를 딴 조합입니다.

패션기업들이 외연을 확장하는 법
- 예능·드라마 만드는 ‘패션전문기업’ 한섬 : 한섬에서 제작해 지난 10월 19일 드라마 ‘바이트 씨스터즈’가 첫 공개 후 12월 중순 기준 유튜브 조회수 총 1194만 회, ‘좋아요’ 약 14만 개를 기록 중이에요. 드라마 회차마다 수백 개 댓글이 달렸고 인스타그램에는 500여 개 이상 게시물이 올라오고 있습니다. 한섬 자사 유튜브 채널 ‘푸쳐핸썸’ 또한, 푸쳐핸썸 게임’ 1화가 공개 일주일만에 유튜브 조회수 12만 회를 기록하며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단는 군요.
- ‘패션’ 입는 식품업계…”MZ세대 정조준” : 인기 패션 브랜드와 협업하려는 식품 기업들이 늘고 있어요. 이마트24는 식품업체 팔도, 리셀마켓 ‘솔드아웃’과 협업해 한정판 ‘솔드아웃 왕뚜껑’을 15일 선보였어요. 한정판 스니커즈 상품에 열광하는 MZ세대들의 심리와 소비 패턴을 분석해 마케팅을 기획하게 됐다는 군요. 한편, 수제맥주 업체 제주맥주는 스트리트 패션 브랜드 ‘베이프(BAPE)’, GS25와 함께 ‘베이프비어’를 론칭했어요.
- K-패션에 ‘K’ 뺐더니, 해외시장서 불티···디자이너 브랜드 잘나가네 : # SSG닷컴이 지난 14일 한 국내 디자이너 브랜드의 코트를 단독 판매하자 세 자릿수 물량이 단 30초 만에 모두 완판됐어요. 주인공은 스트리트 브랜드 ‘언더마이카’인데요. 명품보다 모시기 어렵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인기를 끄는 옷을 론칭하자 온라인 ‘오픈런’ 현상이 벌어졌다고 합니다. 이 브랜드의 인기는 이미 국제적이어서 해외 배송도 이뤄지고 있는데요. 아더에러와 마찬가지로 공식 홈페이지 언어를 모두 영어로 설정하는 등 K-패션에서 ‘K’를 지운 것이 이들의 성공방식이란 평가를 받고 있어요.
- 블랭크, 영차컴퍼니와 합작법인으로 IP커머스 강화 : 블랭크코퍼레이션(대표 남대광 이하 블랭크)이 IP(지적재산권) 전문 기업인 영차컴퍼니(대표 이영재)와 합작 법인을 설립해 IP 커머스를 확장한다고 합니다.

패션 시장의 다음 큰 손은 ‘남성’
- ‘큰손’된 남성들 명품•패션시장 외형 성장 견인 : 현대백화점은 14일 무역센터점 7층에 프랑스 명품 브랜드 ‘루이비통’의 남성 전문 매장을 오픈했어요. 무역센터점 7층을 럭셔리 남성 브랜드 전문관으로 탈바꿈하는 리뉴얼의 일환인데 최근 압구정본점에 ‘멘즈 럭셔리관’을 선보인 데 이어 무역센터점도 국내 최고 수준의 ‘남성 럭셔리 부띠끄’로 탈바꿈한다는 계획입니다. 롯데백화점도 소공동 본점 5~6층 전체를 남성 명품관으로 리뉴얼했죠. 이커머스 패션시장에서도 남성시장의 판이 커지고 있는데요, 무신사의 연간 거래액은 2016년 1990억원에서 2019년 9000억원 등으로 크게 늘었고, 이런 가운데 네이버쇼핑과 하이버가 남성 패션시장에 관심을 드러내는 중입니다. 네이버쇼핑은 지난해 10월, 하이 멘즈 스타일 트렌드 편집숍을 표방한 ‘미스터(Mr.)’ 시범서비스를 시작했구요. 브랜디가 운영하는 남성앱 ‘하이버’가 2018년 11월 출시 후 3년 만에 누적 거래액 2000억원을 돌파했어요.
- 추위 잊은 겨울 신사” 옥션, 남성 정장룩 판매 ↑ : 최근 영하권 추위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도 남성 정장룩이 인기입니다. 연말 수요에 코로나19 장기화로 외부 활동이 줄며 기존에 갖고 있던 옷들이 작아져 다시 정장을 구매하는 이도 늘었다는 분석이에요. 옥션은 최근 한달간(11월19~12월19일) 남성 정장룩 관련 의류 및 잡화 수요가 전년 동기 대비 눈에 띄게 늘었다면서, 남성정장세트 판매량은 38%, 넥타이가 43% 증가했다고 밝혔어요.
뷰티 시장, 알아둘 소식들
- [뷰티] 신세계 시코르, 럭셔리 디지털 플랫폼으로 진화한다 : 신세계백화점의 시코르(CHICOR)가 럭셔리 디지털 플랫폼으로 도약합니다. 2022년부터는 온라인 채널을 강화하고 뷰티테크(beauty+technology)를 결합하는 O2O 디지털 뷰티 플랫폼으로 변신한다네요. 2024년까지 1500억원의 매출을 달성할 계획입니다.
- 샤넬코리아, ‘파업 휴점 사태’ 공식 사과…”고객에 불편 끼쳐 죄송” : 샤넬코리아가 노조 파업으로 지난 5일간 일부 화장품 매장이 휴점한데 대해 사과하고 직원들의 근무환경을 개선하겠다고 약속했어요. 샤넬코리아 노조는 지난 17일부터 파업에 돌입해, 여파로 전국 85개 매장 중 61개 매장의 영업이 중단됐었어요.
- 中화장품 신원료 등록 시행 7개월… “생각보다는 무난하네” : 올해 5월 1일부터 중국 정부가 새롭게 시행한 화장품 신원료 등록이 업계의 예상보다는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어요. 화장품 신원료 등록은 중국 정부의 ‘화장품 감독관리조례’에 따라 진행된 것인데요. 처음은 인체 유래 관련 성분의 경우 등록이 힘들 것이라는 부정적 시선이 많았으나 생각만큼 완고하지 않다고 합니다.
뷰티시장, 떠오르는 스타들
- 엔코스 화장품, 中서 ‘히트’…”대형사 틈새 공략 통했다” : 엔코스는 이들 기업에 이어 글로벌 화장품 ODM 시장의 ‘넘버3’를 꿈꾸는 토종 기업인데요. 마스크팩으로 시작해 스킨케어로 제품군을 넓히며 코스맥스와 한국콜마가 들여다보지 않는 틈새시장을 공략한 결과 2018년 22개였던 글로벌 고객사는 올해 67개로 늘었다고 합니다.
- ‘K-뷰티’ 네이처리퍼블릭, 일본 사업 고성장에 확장 박차 : 네이처리퍼블릭은 일본 온라인 시장의 고성장에 힘입어 일본 3대 버라이어티숍과 드럭스토어 등 전국 6000개 이상 소매점에 입점을 완료했으며 향후 오프라인 시장 공략을 강화한다고 합니다. 올해 네이처리퍼블릭의 일본 매출은 전년 대비 400% 이상 상승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지난해 전년(2019년) 대비 600% 상승한 매출을 새롭게 경신하면서 2년 연속 최대 실적을 기록하는 중이에요.
- 종근당건강 ‘화장품 부문’, 상복 터졌다 : 종근당건강이 화장품 사업 진출을 선언하며 선보인 뉴트리컬(Nutri-cal) 코스메틱 브랜드 ‘CKD Guaranteed(씨케이디 개런티드)’와 유산균 발효과학 코스메틱 브랜드 ‘락토덤(Lacto-derm)’이 출시 10개월만에 각종 상을 휩쓸고 있어요. 씨케이디 개런티드의 베스트셀러 저분자 콜라겐 제품 ‘레티노콜라겐 저분자 300 크림’은 2021 글로우픽 상반기 어워드 안티에이징크림 루키, 2021 글로우픽 어워드 안티에이징 크림 위너, 시장경제신문 주최 2021 대한민국 뷰티 브랜드 대상, 셀프뷰티 4월 에디터스픽 등을 연달아 수상했습니다.
플랫폼들의 커머스, 알아둘 소식들
- [단독] “3시간 안에 패션상품도 배달” 배달의민족, 쿠팡 맞짱 : 배달의민족이 서울 강남 지역에서 배달품목을 넓히고 있어요. 뷰티·패션 등 다양한 브랜드가 입점한 ‘배민스토어’를 오픈했는데요. 음식뿐 아니라 패션까지 1~3시간 만에 받아볼 수 있는 종합 퀵커머스 서비스로 런칭됐어요. 현재 편집숍 폴더(FOLDER), 아리따움, 꾸까(KUKKA) 등이 입점되어 있습니다.
- 티몬, 인플루언서와 공동기획 브랜드 위드티몬 공개 :티몬이 인플루언서들과 협력해 상품을 기획하는 ‘위드티몬(with TMON)’을 선보입니다. 첫 상품으로 유튜브 구독자 58만명을 보유한 고기 전문 인플루언서 ‘정육왕’과 준비한 한우 등심을 티몬 라이브커머스 ‘티비온(TVON)’에서 판매했어요.
- “살아남으려면…” 위기의 위메프·티몬, 비장의 카드 꺼냈다 : 설 자리 잃은 e커머스 4·5위들이 비장의 카드를 꺼내고 있어요. 쿠팡 사용자 35% 늘어난 동안 위메프는 16%, 티몬은 6%씩 사용자가 줄어든 상황입니다. 위메프, 티몬 등 중소형 플랫폼이 위기 탈출을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어요. 위메프는 브랜드 자사몰이 위메프에 입점하면 수수료를 받지 않고 이용자를 연계해주는 서비스를 내년 1분기 시작한다고 21일 발표했구요. 지난 10월 ‘콘텐츠 커머스’로의 변신을 선언한 티몬은 조만간 경북 포항시와 함께 ‘커머스센터’를 설립하고 포항지역만의 상품을 라이브커머스로 내보낼 계획입니다.
- “3일 만에 무료배송”…쿠팡의 美직구 자신감 : 해외직구 수요가 폭증하고 있는 가운데 쿠팡이 빠른 배송과 무료 배송을 앞세워 직구 시장 ‘큰 손’으로 떠오르고 있어요. 쿠팡은 초창기 미국에만 한정됐던 직구 품목을 중국으로 넓히고, 건강식품, 뷰티 등 12개 카테고리 800만 개 상품을 판매 중인데요. 2017년 로켓직구를 론칭했을 당시 구매가 가능한 상품의 숫자는 8만 개에 불과했지만, 불과 5년 만에 800만 개로 100배 이상 확대된 상황이에요.
커머스 물류, 알아둘 소식들
- 아디다스·데상트 ‘옷’배송만 1200만 박스 돌파..한진 패션물류↑ : ㈜한진이 B2B(기업간 전자상거래) 의류 택배 시장에서 눈에 띄는 성과를 내고 있어요. 올 들어 처리한 B2B 의류 물량은 1200만 박스(11월말 기준)가 넘는다고 18일 밝혔는데요. 주요 고객사는 아디다스코리아와 신세계인터내셔날, 데상트 등 국내·외 유명 패션 브랜드들이라고 합니다.
- 쿠팡의 초격차…내년 전국 로켓배송 : 국내 e커머스 시장 경쟁이 계속되면서 마켓컬리, SSG닷컴 등이 전국 단위의 물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는 가운데 쿠팡이 내년 신규 물류센터들을 본격적으로 가동하면서 전국 로켓 배송 생활권을 실현한다고 합니다.
오늘 준비한 소식은 여기까지입니다. 저는 휴가 후 1월 3일에 다시 찾아오겠습니다.
행복한 연말연시 보내시고,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1년 동안 감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