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랑브랜드랑
과연 3월달에는 어떤 브랜드들의 문화행사가 열렸을까요?
#DDP서울해몽, #펜트하우스2inART, #샤넬제주팝업 헥헥..
기타 등등 다양한 소식이 가득합니다~~!
edited by 하지영
안녕하세요. 아트랑 브랜드랑 3월 이슈와 함께 돌아온 piiin핀님 입니다.
언택트로 치루어진 2021FW 서울패션위크 디지털 패션쇼, 언택트 VR 전시 소개와 함께 높은 시청률과 압도적인 화제성으로 마무리된 드라마 펜트하우스2 in 아트 이야기!

그리고 샤넬 최초 제주 팝업 부티크 오픈 소식, 루이비통과 에르메스 플래그십에서나 볼수 있었던 하이엔드 가구를 구매할 수 있는 리아 쇼룸 방문 리뷰까지! 풍성하게 준비한 이야기 지금 시작합니다
– 2021FW 서울패션위크 언택트 디지털 런웨이
– DDP 2021 SEOULIGHT : 서울해몽Ⅱ
– LG 시그니처 언택트 VR 360 디지털 전시회
– 하이엔드 이태리 가구 브랜드 리아 LIA 쇼룸
– 펜트하우스 in ART 김영진 작가 자유소생도
– 샤넬 제주도 팝업 부티크 오픈
– 4월 예고 – 바이레도 in 최랄라 사진전
2021FW 서울패션위크
2021.3.22 – 3.27
언택트 디지털 런웨이
2021FW 시즌 서울패션위크가 이날치의 오프닝 공연을 시작으로 2021.3.22 – 3.27까지 6일간 언택트 디지털 패션쇼로 온라인을 통해 공개되었습니다. 모두가 방구석 1열 프론트로우에서 공평하게 쇼를 볼수 있는 디지털 런웨이쇼를 전략적으로 잘 준비한 시즌이기도 했구요.

먼저 루이비통의 글로벌 앰베더서인 영화배우 배두나 님이 서울패션위크의 첫 앰베서더로 선정되어 뉴욕 타임스퀘어에 K패션 브랜드와 함께 대표 얼굴로 광고판에 송출되었습니다. 또한 독일을 베이스로 활동하는 프로듀서이자 DJ페기구가 서울패션위크 피날레 공연을 선보였죠. 그녀는 펜디(FENDI)의 캠페인 모델로 선정되기도 했고, 직접 디자인한 패션 브랜드를 운영하는 디자이너이기도 합니다.
특히 포스트 코로나 시대 전략적으로 서울시에서 기획한 이번 행사는 패션+도시+역사 문화를 연결시켜 패션계의 위상을 높이고자 했고, DDP를 벗어나 최초로 국립중앙박물관, 국립현대미술관 등 서울의 대표적인 명소 곳곳에서 100% 사전 제작으로 진행되었습니다.
덕분에 뻔한 런웨이 쇼 형식을 벗어나 영화 같은 스케일과 브랜드만의 시즌 컨셉을 다양한 앵글로 담아내며 완성도 높은 디지털 프레젠테이션을 선보였습니다.
공식 홈페이지와 유튜브 채널, 네이버 TV, tvND, TVING 등의 채널에서 관람할 수 있도록 일자별로 디지털 런웨이 쇼가 공개되었는데, 브랜드의 인지도를 한눈에 알수 있는 공식 유튜브 조회수 1위 브랜드는? 바로 얼킨이었습니다.
또한 말 잘하는 고태용 디자이너와 예능신 tvN이 만나 최고의 조회수를 기록한 tvND 채널은 오프라인 취재를 대체하며 디자이너, 모델, 아티스트들의 비하인드를 흥미롭게 풀어낸 디지털 콘텐츠를 선보였습니다.
그렇다면 글로벌 패션계의 반응은? 보그닷컴이 주목한 서울패션위크 디자이너 5인과 보그 이태리에서 주목한 신예 디자인너 5인 주인공은 해당 링크를 통해 확인해 보세요!
2021FW 서울패션위크는 끝났지만? 직접 K 디자이너의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네이버쇼핑 라이브 커머스가 2021.3.29 – 4.9까지 진행 중입니다.

DDP 2021 SEOULIGHT
2021.3.26.~ 2021.4.1
서울해몽Ⅱ 미디어아트 빛 축제
그렇다면? 7년간 서울패션위크 무대의 중심이 되었던 DDP는 어떤 모습일지 궁금해졌는데요. 이미 해외에서 검증된 디지털 아트 컬렉티브 팀랩(teamLab)의 미디어아트 전시 <teamLab: LIFE>가 8월 22일까지 연장되었고, 지속 가능 디자인에 대한 연구와 신진 디자이너의 전시 공간 지원 등 디자인 관련 행사를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그중 piiin 핀님이 주목한 행사는 패션위크 기간(2021.3.26.~ 2021.4.1)과 살짝 겹쳐진 서울라이트(SEOULIGHT) 미디어아트 빛 축제입니다. DDP 220m 외벽 전면이 거대한 캔버스가 되어 압도적인 미디어 파사드를 선보였으며 2019년 첫 행사에 무려 100만 명이 관람했던 서울시의 대표적인 미디어아트 빛 축제입니다.
2021년 서울라이트의 주제는 ‘서울해몽Ⅱ(SEOUL HAEMONGⅡ)’ 즉 ‘서울의 꿈 풀이’ 라는 뜻입니다. ‘2019 서울라이트 : 서울 해몽’의 개막작에 이어 이번 <2021 SEOULIGHT : 서울해몽Ⅱ> 미디어아트 전시에 총감독으로 참여한 레픽 아나돌(Refik Anadol)’은 터키 출신의 세계적인 비주얼 아티스트입니다.
AI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한 미디어 파사드 작품은 서울의 과거, 현재를 담은 6백만 장의 사진과 전 세계 자연 경관의 모습을 담은 일만 일천여 장의 사진이 다채롭게 변화되며 압도적인 장면을 연출했습니다. 이 행사를 통해 동대문 일대 상인들과 코로나19로 지친 시민들에게 디자인 감성으로 위로와 힐링을 전했습니다. 전시 이후에도 DDP 상설 공간 ‘LIGHT SPACE’에서 동일한 작품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LG 시그니처 언택트 디지털 전시회
별 많은 밤 지구를 걷다
예술 작품과 함께 초 프리미엄 브랜드 LG 시그니처를 온라인에서 감상할 수 있도록 구현한 VR 온택트 디지털 갤러리 2차 기획 전시를 소개 합니다. 비대면 시대를 맞아 누구나 PC나 모바일로 방문할 수 있는 온라인 아트갤러리의 첫 번째 기획 전시는 한국 추상미술의 선구자로 평가 받는 故 김환기 화백의 특별전이었죠.

새롭게 선보인 LG 시그니처 온택트 갤러리의 2차 기획 전시는 김환기 특별전을 기획했던 김노암 씨가 다시 예술 총 감독을 맡아 현대 미술가 5인 한승구, 김창영, 이은, 이상권 이경민 작가와 함께 자연과 예술을 통한 치유를 테마로 기획했습니다.
팬데믹 시대 인류는 더 이상 자유롭게 외출을 하지 못하고, 자유롭게 걷는 것조차 허락되지 않고 있죠. 바로 지금 인류에게 필요한 것은 자연 속에서 걷고 치유하며 일상을 회복하고 삶의 균형을 찾는 일이 아닐까요? 이번 전시는 5인의 예술가들과 함께 자연과 조화되는 순간을 상상하며 자유롭게 걷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5인 작가의 작품을 볼 수 있는 5개의 공간과 1개의 도큐멘테이션 섹션으로 구성된 전시는 평면 회화를 3D 그래픽으로 구현해 입체적으로 관람이 가능하며, 온택트 전시 공간 안에서 맵핑, 인터랙티브 프로그램 등을 다양하게 체험해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사운드 큐레이터 한수지 씨와 Kayip가 각각의 작품에서 영감을 받아 작곡한 음악이 시각과 청각을 자극하며 디지털 전시 관람에 깊이를 더해줍니다. 겨울 풍경 유화를 감상할 때는 생생하게 눈을 밟는 소리가 들립니다.
리아 LIA 쇼룸
이탈리아 하이엔드 가구
이탈리아 하이엔드 가구를 공간 디자인으로 제안하는 리아 LIA 청담 쇼룸에 직접 방문했습니다. 글로벌 디자인 리빙 매거진과 에르메스, 루이비통 플래그십에서 보던 거장의 가구들을 실제로 체험하고 구매할 수 있는 쇼룸입니다.

세계적으로 명성 있는 이탈리아 아티스트의 리빙 브랜드를 청담 중심부 450평 규모의 쇼룸에서 만날 수 있는 리아 LIA 쇼룸은 특히 여러 브랜드를 모아 놓은 기존의 편집숍과 달리 브랜드별 모노 쇼룸을 마련한 것이 특징입니다. 디자이너의 철학을 반영해 독립적으로 구성된 브랜드 쇼룸은 가구와 오브제를 함께 선보이며 일상 속 공간 예술의 깊이를 체험할 수 있게 해줍니다.
대표적인 7개의 이태리 가구 브랜드! 다양한 소재와 유명 디자이너와의 협업으로 혁신적인 가구를 선보이는 리아의 대표 브랜드 데파도바 (DePadova), 가장 현대적인 모듈 시스템의 선구자 MA/U 스튜디오(MA/U Studio), 목재에 대한 장인의 열정으로 독보적인 가구를 선보이는 체코티 콜레지오니 (Ceccotti Collezioni), 완벽한 품질의 수작업 가구를 제작하는 프로메모리아 (Promemoria)와 함께,
300년 이탈리아와 밀라노 전통을 현대적으로 해석한 루벨리까사 (Rubelli Casa), 뉴욕 셀러브리티와 상류층의 라이프스타일 컨셉을 담은 동기아 (Donghia), 그리고 멘디니 등 유명 디자이너 협업과 전통의 만남으로 그 명성을 이어오고 있는 베니스 유리 공예 브랜드 베니니 (Venini) 등을 개별 쇼룸에서 만나 볼 수 있습니다.
이탈리아 하이엔드 리빙 제품을 소개하는 프리미엄 리빙 쇼룸 리아 (LIA)를 모두 둘러 보셨다면? 가구 구매 고객을 위해 프라이빗하게 운영되고 있는 VIP 라운지로 이동해 봅니다. Modern Venetian 콘셉트의 VIP라운지 바와 뮤지엄을 별로도 운영하고 있어 특별한 아트퍼니처와 오브제를 감상하며 마치 베네치아 여행을 즐기는 느낌도 들었습니다. 쇼룸은 사전 예약을 통해 방문이 가능합니다.
펜트하우스 in ART
높은 시청률을 기록한 화제의 드라마 펜트하우스 시즌 2가 13회를 끝으로 종영되었습니다. 벌써부터 시즌3까지 두 달의 공백기를 어떻게 기다리냐며 시청자들이 후유증을 호소하고 있을 정도입니다. 이번에는 진작에 올리려 했던 펜트하우스 2 드라마 속 아트 이야기를 풀어봅니다.
오늘 소개할 주요 장면은 위의 유투브 영상 링크에서 4분 30초부터 플레이해서 보시면 됩니다. 오윤희 역 유진과 진분홍 역 안연홍이 펜트하우스 로비에서 은밀히 접촉하는 장면에 등장한 작품은? 서양화가 김영진 작가의 자유소생도 입니다.

드라마 펜트하우스는 디테일하게 소품 하나도 허투루 사용하지 않는것으로 유명한데요. 당연히 화면을 가득 채우며 등장한 대형 유화 작품은 극의 전개를 위해 특별한 의미를 전하는 장치인 것이죠.

<자유소생도> 라는 제목의 작품은 서양화가 김영진 작가가 꾸준히 선보여온 시리즈 작품으로 생명의 근원인 자연에서 영감을 받아 아름다운 꽃과 인간이 상생하는 이상향을 구현한 작품입니다.
작가는 마음이 절로 치유되었던 자연과 햇빛에서 느끼는 감동을 남기고 싶었고, 눈에 보이지 않는 미시세계(microscopic world)의 밝은 형상들을 심층적으로 바라보고자 작품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작품의 과정은 이러합니다. 선으로 구분된 형태를 색면으로 채운 뒤 화면 가득 점을 채워 넣는데, 이는 고도의 집중을 요하는 반복적이고 수행적인 과정입니다. 이를 작가는 눈에 보이지 않는 사랑의 에너지를 가시화 하는 과정이라고 말합니다. 주변의 모두가 진심으로 잘되었으면 하는 작가의 바람을 담아 그린 작품은 시각 혼합 효과를 통해 보다 입체적으로 생생한 에너지를 전해줍니다.

다시 드라마 장면으로 돌아가 볼게요. 김영진 작가의 <자유소생도>는 죽은 줄만 알았던 심수련의 부활을 암시하는 장면으로 유추되었으며, 이후 나애교로 변장해 모두를 속인 채 진짜 심수련이 돌아오게 됩니다. 펜트하우스 시즌 2의 아트 이야기는 4월 이슈에도 한번 더 소개해 드릴 예정 입니다.
샤넬인제주
제주도 팝업 부티크 오픈
이번에는 모두가 꿈꾸는 국내 최고의 휴양지 제주도로 이동해 볼게요. 제주도 최초의 샤넬 팝업 부티크가 제주 신라호텔에 오픈되었습니다. 샤넬의 티스틱 디렉터 버지니 비아르가 선보인 2021 봄 여름 컬렉션과 샤넬 코코 비치 컬렉션을 선보이기에 이보다 맞춘 듯한 장소가 있을까 싶네요.
샤넬 파리지앵 하우스 컨셉
제주도 최초 샤넬 팝업 부티크는 270제곱미터 규모를 자랑합니다. 2021SS 시즌 파리패션위크 런웨이 쇼가 연상되는 샤넬 로고 레터링을 중심으로 고급 파케이(parquet) 바닥 시공에 트위드 느낌의 카펫 디테일, 편안한 소파가 주는 안락함은 파리지앵의 하우스에 초대 받은 듯 프라이빗한 분위기를 전해줍니다.
2021SS 샤넬 컬렉션 테마
샤넬과 인연을 맺어온 아이코닉한 영화배우들이 뮤즈이기에 화려한 의상들로 구성되었는데 라이트 핑크 컬러 샤넬 19백과 슈즈 라인, 아이코닉 J12 워치와 코코 크러쉬 주얼리 컬렉션도 준비되어 있습니다.
샤넬 코코비치 컬렉션& 샤넬 미니백
특히 샤넬 2021 코코 비치 컬렉션을 위한 별도의 공간에서 세트로 제안되는 서핑 보드도 만나볼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샤넬 미니백 , 망사 헤드피스, 뉴 트위드 재킷을 시즌 키 아이템으로 추천합니다.
4월 예고
바이레도 in 최랄라 사진전
바이레도 in 최랄라 사진전을 4월의 예고로 소개 드립니다. 사진계에서 주목 받고 대중적 인기가 높은 사진 작가 최랄라가 3년 동안 국내외를 떠돌며 방황의 과정에서 탄생한 사진들을 <FEEL LOST>라는 타이틀 아래 공개했습니다. 특히 이번 사진전은 향기, 음악, 공간 등의 요소를 접목했으며 유러피안 럭셔리 니치 향수 브랜드 바이레도(byredo)의 향으로 채워집니다.
이상 핀님이 준비한 2021년 3월 아트랑 브랜드랑 이슈를 모두 소개해 드렸습니다. 곧 더 새로운 4월의 이슈로 만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