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수의_마케팅용어요즘 점점 모르는 용어들이 늘어가지요? 한달에 2번, #마케팅용어 들을 짤막 스터디해두자구요.오늘 첫시간은 #택소노미 가 무엇인지부터 알아볼까요?
안녕하세요! 금일부터 데일리 트랜드를 통해 그로스마케팅과 관련된 마케팅 용어를 소개해드릴 CJ Olivenetworks Team Maxonomy(www.maxonomy.net) 정기수입니다.
앞으로 한 달에 두 번씩 여러분들께 꼭 필요한 정보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금일 첫 번째로 알아볼 용어는 택소노미(Taxonomy) 입니다.
Taxonomy 란 그 의미로만 볼 땐 분류체계라는 뜻을 의미하며, 마케팅에서는 이벤트 분류체계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과거 Web 기반 환경에서는 사용자의 행동을 이해할 때 Session(세션) 을 기반으로 분석하곤 했는데요, 이는 웹 페이지의 이동이 곧 사용자의 행동 이동이라고 이해할 수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방법이었습니다.
그러나 모바일 생태계로 변화하면서 애플리케이션이 등장하고, 애플리케이션은 웹이 아닌 네이티브 앱(Native App) 환경으로 구성하기 때문에 페이지의 이동으로 사용자의 행동을 분석할 수 없게 된 것이지요.
웹(Web) | 네이티브 앱(Native App) |
인터넷 브라우저를 활용하고, 도메인 주소를 이용하여 접속 및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App Store, Google Play Store 등을 사용할 필요 없이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 Swift, Objective-C 등 iOS, Android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전용 언어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서비스 환경. 보통 네이티브 앱은 App Store, Google Play Store 를 통해 설치할 수 있다. |
이때부터 우리는 태그(Tag) 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행동을 이해하기 시작했습니다.

태그는 이름과 속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이름과 속성은 지극히 주관적으로 작성할 수 있다보니 정확한 명명 규칙을 갖고 있지 않으면 타인이 데이터를 이해하는데 매우 어렵다는 문제에 직면합니다.
e.g.) 장바구니에 생수를 담는다
이벤트 명 | 이벤트 속성 | |
잘된 태그 | add_to_cart | product_name, brand_name, … |
잘못된 태그 | Tag_1 | prop_1, prop_2, prop_3, … |
위의 예시만 보더라도 잘된 태그는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데에 반해 잘못된 태그는 여러 태그와 섞여 있을 때 무슨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지 알 수가 없겠죠?
이렇게 태그 명칭을 잘 정의하는 것이 중요해졌으며, 이러한 일련의 작업을 Taxonomy 라고 한답니다. 이 작업은 갖고 있는 의미만큼 설계하는 데에 다양한 약속을 강제합니다.
위 내용 꼭 숙지하시어 향후 태그 설계에 참고하시길 바라겠습니다. 그럼 다음 시간에는 “On-premise 와 SaaS” 라는 주제로 찾아뵙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