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생성AI 도입을 고민 중이신가요? 어떤 로드맵을 그려야 할지 고민 중이시라면, 여기 참고할 사례들을 모아보았어요~
생성AI 도입을 ‘기업’차원에서 결정한다는 건 의외로 쉬운 일이 아니에요.
직원들 개인이 ChatGPT 유료 구독을 한다든가 하는 건 자유지만, 기업이 도입하려면 여러 복잡한 문제가 생겨요. 로컬 서버에서 돌릴 것인가 클라우드에서 돌리 것인가, 기업 문서는 어디까지 업로드 할 것인가 등등 정해야 할 문제들이 하나 둘이 아니거든요.
또 기업 규모에 따라서도 도입절차는 다를 수 밖에 없어요. 걍 무조건 전사적으로 도입한다..? 어매.. 누가 무엇 때문에 그런 모험을 하겠어유?
오늘 그간 데일리트렌드에서 소개했던 생성AI 도입의 로드맵 관련 글들을 한번 정리해볼께요.
대기업이 생성AI 도입에 참조할 사례
대기업이 기존의 기업용 AI 솔루션을 도입해 디벨롭할 경우에 참조하시면 좋을 사례예요. 다만, 이 기업들은 클라우드 기반이었다는 게 함정..! ㅋㅋㅋ
전문기업이 비즈니스에 특화된 생성AI 툴을 개발할 때 참조할 사례
한편, 광고 기업이라든지, 컨설팅 기업이라든지, 패션 기업이라든지 하는 특화된 영역의 기업들이라면, 각자의 비즈니스에 특화된 방식으로 생성AI를 활용하고 싶어해요. 그럴 때 아래 사례들이 도움이 될 거예요.
전사적 도입보다 가장 큰 고통부터 적용해보기
저는 생성AI를 도입하실 때, 생성AI란 큰 트렌드에 뒤쳐지지 않으려면 전사적 도입이라는 대대적 프로세스가 필요한 순간이 올 수 있지만, 일단 그 전에 이 기술이 어떤 기술인지 기업이 충분히 ‘인지’하는 다양한 체험을 해보시는 게 제일 좋다고 생각해요.
가장 괴로운 노가다부터 생성AI로 자동화해보거는 거지요. 과거엔 말이 자동화지 자동화 구축이 쉽지 않았다면, 이제는 full 자동화까지는 아니라도, 반 자동화는 얼마든지 쉽게 할 수 있어요. 그리고 이 사소한 고통부터 줄여주는 스타트업들이 한국에도 굉장히 많답니다.
어떤 시도부터 해보는 게 좋을지 영감이 필요하시다면, 아래 사례가 도움이 될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