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아트랑 브랜드랑 특별한 만남을 소개하는 piiin 핀님 입니다.
edited by 하지영
9월 이슈에서는 장기화된 코로나19 상황에서 더욱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현대미술의 디지털 콘텐츠화와 이를 통한 다양한 소통 방식을 소개합니다. 또한 펜데믹 상황으로 디지털 패션쇼로 전환된 시점에 쇼를 소개하는 호스트의 역활이 더욱 중요해 졌는데요, 바로 이 부분에서 K-POP 아이돌의 활약이 돋보이는 요즘 입니다.
■ DDP 팀랩 라이프 디지털 아트 컬렉티브
■ 파라키드 라이즈 : 현대미술 모바일 게임 속으로
■ 환상과 일상 사이 디지털 관광
■ 호랑이는 살아있다 Tiger Lives 구글AR
■ 언택트 디지털 패션위크 속 K-POP 아이돌의 활약
■ 10월 예고 보테가베네타 x 현대카드 라이브러리
DDP 팀랩 라이프
디지털 아트 컬렉티브

도쿄 상설 전시를 통해 몇 시간씩 머물고 재관람하는 매니아층을 형성하며 인스타그램 피드를 핫하게 달구었던 디지털 아트 컬렉티브 그룹 팀랩(teamLab)의 서울전시회가 9월 18일부터 내년 3월 28일까지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DDP)에서 진행됩니다.
꽃, 나비, 동물, 대지등 자연과 인간의 공존을 다룬 8개의 테마를 주제로 380평 규모의 바닥, 벽면, 천장을 모두 초대형 디지털 스크린화해 참여자가 작품 안에 들어온 듯 압도적인 경험을 선사합니다. 2001년부터 세계 무대에서 활동해온 창작집단 팀랩은 아티스트, 프로그래머, 엔지니어, 애니메이터, 수학자, 건축가 등 국적과 분야가 서로 다른 50인 이상의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탄탄한 스토리텔링과 첨단기술로 극대화된 몰입감을 선사합니다.
특히 고정된 영상이 송출되는 것이 아니라 전시장을 걷고, 벽에 기대고, 손으로 만지는 순간 실시간으로 모션을 감지해 영상이 변환되며 관객과 소통합니다. 손이 닿는 곳에 꽃이 피어나고 동물은 죽음을 맞이하고 다시 새로운 생명으로 이어집니다. 즉, 두 번은 볼 수 없는 찰나의 장면을 환상적인 미디어 아트로 경험해 볼 수 있죠
파라키드 라이즈
현대미술 모바일 게임 속으로
세계 최초 현대미술 작가 브랜딩 어플리케이션 파라키드 라이즈 [PARAKID : RISE]가 9월 26일 런칭되었습니다. ART & ICT 의 만남을 통해 모바일 게임으로 현대미술 작가와 소통하는 새로운 뉴 미디어 플랫폼 어플리케이션입니다.

본 서비스를 개발 및 배급하는 주식회사 THEO 띠오는 손가락 하나만으로도 조작이 가능한 클리커 미션을 진행하며 사용자로 하여금 간접적으로 미술품 컬렉팅을 경험하게 합니다. 새로운 뉴 미디어 플랫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국내 신진 작가를 발굴하고 전 세계에 홍보하며 미술시장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합니다.
파라키드 라이즈의 게임 속 세계관을 선보인 팝 아티스트 최세진 (08:AM 에잇에이엠)은 삼성전자, 라이엇게임즈, FILA, 롯데갤러리 등 다수의 패션 브랜드와 기업 콜라보를 통해 장르의 경계를 넘나들며 끊임없이 새로운 작업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08:AM 작가 특유의 기하학적인 형태가 디지털 콘텐츠에 최적화된 이미지라 생각했었는데, 이번 파라키드 라이즈 프로젝트 협업을 통해 실제로 완벽한 결과물을 선보였죠.
현대미술의 디지털 콘텐츠화는 시대적 필요에 의해 AR, VR, CG 등 디지털 콘텐츠로 전환되어 왔으며, 이제 현대미술이 게임 속으로 들어왔습니다. 특히 세계 럭셔리 패션을 선도하는 구찌는 자사의 어플리케이션으로 패션아이템이 결합된 모바일 게임을 지속적으로 선보이며 젊은 세대를 공략해 왔죠. 코로나19 이후 언택트의 장점으로 가장 활발하게 소통하는 게이미피케이션 [Gamification]기능이 아트와 만났습니다.
환상과 일상 사이 디지털관광
스페큘레이티브 디자인
미래적 가능성과 비전을 제시하는 가장 앞선 디자인 개념인 스페큘레이티브 디자인(Speculative Design) 작품을 국내에서 유일하게 접할 수 있는 셀린박갤러리의 새로운 서울 전시회 소식!

스페큘레이티브 디자인 개념이 적용된 작품은 첨단 기술의 발전에서 오는 사회적이슈를 새로운 관점에서 보도록 다소 충격적인 디스토피아적 시나리오를 제시합니다. 이번 전시는 Soomi Park & Owen Wells 두 작가가 연구한 총 5가지 프로젝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가장 눈길을 끌었던 건 디지털 관광 사업을 꼬집는 환상과 일상 사이(Between Dreamy and Dreary)라는 작품입니다. 위의 이미지는 가상현실용 여행용품 세트를 체험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진짜 그곳에 간듯 걷고 느끼고 먹고 만지며 오감을 자극합니다. 디지털 관광은 이렇게 몰입도를 높여주는 최첨단 가상현실 기기와 4K 영상을 통해 환상적인 경험을 제공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디지털 관광 사업의 발전은 현실을 인지하지 못하는 부작용을 초래하고 있습니다. 실제 광관지에 방문했을 때 가상현실처럼 날씨가 화창하거나 환경이 무한으로 쾌적할 수 없기에 도리어 관광 자체에 실망감을 느끼게 되니까요!
진짜 현실은 무엇인가? 과연 우리는 가상 속 환상적 체험과 현실 속 실망적 체험 중 어느 것을 선호할까? 익숙한 사회현상을 완전히 다른 미래적 시각으로 제시하는 5개의 프로젝트들은 사전 예약과 전문 도슨트를 통해 작품 하나하나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호랑이는 살아있다
Tiger Lives 구글AR
코리아나 화장품에서 운영하는 코리아나미술관 스페이스 씨는 상업성보다는 자체 기획전을 통해 새로운 자극을 주는 의외의 히든 플레이스입니다. 지난 9월 7일에 공개된 전시의 주인공은 멸종 위기에 처한 호랑이 입니다. 호랑이 관련 소장 유물 및 근현대 회화 작품, 영상, 설치, 아카이브 등 40여 점을 만나볼 수 있는 특별기획전이죠.
이번 전시의 타이틀 <호랑이는 살아있다>는 세계적인 비디오 아티스트 백남준이 2000년 1월 1일 ‘DMZ 2000 – 새 천년 통일 기원제’를 위해 제작한 작품의 이름에서 가져왔습니다. 실제 코리아나 미술관 전시장에서는 같은 이름으로 변주된 에디션이 전시되고 있구요.
용맹한 맹수의 모습부터 해학적이며 친근한 모습까지 우리민족과 수천 년의 역사를 거쳐온 호랑이는 한국을 대표하는 표상으로 국제 대회나 국가 대표팀 엠블럼의 모티브가 되기도 했죠. 호랑이를 주제로 한 다양한 국내외 아티스트의 작품을 통해 어려운 시기를 이겨내자는 희망의 메시지를 전합니다.
이번 전시에서는 익히 알고 있는 구글의 디지털 콘텐츠를 활용한 관객 참여형 이벤트를 제안하며 의외의 즐거움을 더해주었습니다. 스마트폰에서 구글 검색창에 ‘호랑이’를 검색하면 이렇게 고퀄의 3D 영상이 AR로 구현됩니다. Google 3D Animals를 전시회 콘텐츠로 활용하다니! 그야말로 생각의 전환을 통해 좋은 디지털 소스를 얻게 되었네요.
언택트 디지털 패션위크 속
K-POP 아이돌의 활약
다들 추석연휴 기간을 어떻게 보내셨나요? 본격적으로 카카오TV에서 글로벌 럭셔리 브랜들의 해외 패션위크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를 지원하면서 최근에는 카카오톡 알림으로 빅쇼를 빼놓지 않고 볼 수 있었다는 사실!
9월 29일 파리 패션위크 2일차 디올쇼가 공지되었는데, 세상에! 프랑스 셀러브리티가 아닌! 대세 여성 아이돌 그룹 블랙핑크의 멤버 지수가 디올의 프론트로우 호스트로 등장했습니다. 디올 인스타그램 스토리를 통해 지수는 완전히 한국어만으로 집콕 1열 디지털 패션쇼 관람 소감을 실시간으로 공유했습니다. 편안하게 집에서 쇼를 보기 위해 고른 의상과 스타일링을 소개하고 안녕, 고마워, 디올 사랑해 같은 간단한 한국어를 알려주기도 했죠.
또한 가장 최근에 진행된 파리 패션위크 샤넬쇼는 쇼가 끝난 후 각 나라를 대표하는 셀럽들의 패션쇼 관람 소감을 역시 인스타그램 스토리를 통해 공유했습니다. 그런데! 칼 라거펠트의 무한 사랑을 받았던 원조 샤넬 엠베서더 GD 지드래곤의 영상이 올라오자마자 글로벌 팬들이 순식간에 그의 사진과 영상을 그대로 피드에 올리며 여전한 패션 아이콘 GD의 클라스를 실감케 했습니다. 현 샤넬 엠베서더 제니의 고급진 영어 인터뷰까지, 펜데믹을 뚫어버린 K-POP의 힘에 새삼 놀라게 되는군요!

10월 예고
보테가베네타 x 현대카드 라이브러리
올해 초 현대백화점 판교점에서 파우치 팝업 스토어를 선보이며 본격적으로 한국 시장을 공략 했던 이탈리아의 럭셔리 브랜드 보테가베네타의 팝업 인플레이터블 스토어(THE INFLATABLE STORE)를 10월 7일부터 10월 18일까지 이태원 현대카드 라이브러리에서 선보입니다.

이상 현대미술의 디지털 콘텐츠화와 소통을 주제로 piiin 핀님이 준비한 9월 아트랑 브랜드랑 이슈를 모두 전해드렸습니다. 곧 2020년 10월 이슈로 뵙겠습니다.